교과목소개
교과목해설
연번 | 교과구분 | 교과목명(영문명) | 과목 설명 |
---|---|---|---|
1 | 전필 | 창의공학 및 실습 (520022) Creative Engineering Design |
창의적 설계과목은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주제에 맞는 개선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연습을 통하여 엔지니어로서의 기본소양을 향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현 상태에 대한 정확한 문제 정의 과정이 필요하며 그 후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향후 개선상태에 관해 판정하며 마지막으로 팀웍 활동을 통한 프로젝트의 역할분담 및 발표능력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과정을 연습한다. |
2 | 전선 | 건설환경학개론 (520023) Introduction of civil engineering |
인류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하여 자연환경을 개량-보전하고 생활-산업-교통을 위한 시설물을 제공할 목적으로 연구, 경험, 실무를 통해 얻어진 수학적-과학적 지식을 공학적으로 판단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능력을 배양한다. |
3 | 전선 | 방재공학연습 (520024)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and practice |
방재공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, 재난의 상태나 원인을 철저히 파악할 수 있는 분석능력과 피해 범위 및 피해정도를 정성적 및 정량적인 방법으로 예측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. 또한 국내외 대형재해와 재난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, 국가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방재공학적 대처법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. |
4 | 전선 | 공간정보개론 및 연습 (520033) Introduction of space information and practice |
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여러 점간의 상호위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여 사회기반시설(SOC) 사업의 계획입안 및 설계작업에서 활용되는 정보(data)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기준점 측량과 지형도작성을 위한 측량 및 GPS측량의 방법을 알고, 실습을 통하여 그 능력을 배양한다. |
5 | 전필 | 건설기초수학 (520034) Basic civil mathematics |
토목공학에 적용 가능한 분야별 예제를 통하여, 전공과목 학습에 필요한 수리, 물리적 의미를 습득하고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. 그리고 전공과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수와 함수, 삼각함수, 미분학, 적분학에 관한 예제풀이와 전공에 대한 적용방법을 학습한다. |
6 | 전선 | 하천환경학연습 (520035) River environment and practice |
하천환경학연습은 물 관련 과목 중 종합적인 응용 분야이며 실제 하천에 적용하는 학문이다. 하천의 형성, 형태, 거동을 파악하고 하천과 인간과의 관계를 생태환경 및 공학적으로 접근하여 인류발전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하천에 대한 올바른 공학적 인식을 갖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천을 생태환경적으로 어떻게 관리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하여 학습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. |
7 | 측량 | 측량학 및 실습 (520025) Surveying & Surveying Practice |
측량이란 지구 표면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상호 위치관계를 측정하여 도시하고 또 현장에 측설하는 과학기술이며 측량학은 이러한 측량의 기본원리를 측량요소별로 습득하고 측량학에서 배운 기본 이론에 따라 장비를 활용 및 조작하여 측정을 하고 내업을 통해 계산 조정을 하여 관측값에 대한 활용여부를 판단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익히게 한다. |
8 | 전필 | 응용역학 및 연습 (520026, 520038) Applied Mechanics Ⅰ,Ⅱ |
구조물의 역학적 거동 및 변형거동의 내적인 성질을 취급하는 과목으로서 축하중을 받는 부재, 비틀림을 받는 부재 및 정역학적 정정 및 부정정 구조물의 내적인 단면력(휨모멘트, 전단력, 축력)과 변형거동(처짐, 비틀림각, 변위등)의 해석을 한다. |
9 | 전선 | 상하수도공학 및 연습 (520027) Water Supply and Wastewater Engineering |
각종 환경문제 가운데 수질 환경의 근간이 되는 상수도 및 하수도 시설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익히고, 상하수도 시설을 계획,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. |
10 | 전선 | 토질역학 (520028) Soil Mechanics |
흙의 생성 , 구성과 구조 그리고 공학적인 성질을 다루고 다짐, 침투, 유효응력 그리고 각종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지중응력과 그에 따른 각종 침하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토질을 기초로 하여 토목 및 건축구조의 기초 설계는 물론 연약지반의 처리대책 등을 터득하기 위해 토질의 역학적 특성 즉 압밀, 전단강도 토압론, 사면안정 및 사면처리방법 등을 이론과 실험을 통해서 배운다. |
11 | 전선 | 지형공간정보실습 I, II (520029, 520040) Practice of Geo- Space Information |
지형공간정보를 첨단 위성측량기술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통합 공간정보공학의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실기를 통하여 목적에 따라 지형정보를 관리, 분리 및 응용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익힌다 |
12 | 전선 | 응용측량학 및 실습 (520036) Applied surveying and practice |
측량학과 측량실습을 통하여 학습한 이론과 실습을 토대로 지형도 작성을 실시하고, 노선측량, 하천측량, 터널측량 및 면체적 측량의 실무이론을 다루고 각종 건설공사의 계획과 시공에 응용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향상하는 과목이다. |
13 | 전선 | 수리학 및 연습 (520037) Hydraulics and practice |
개수로와 관수로의 흐름, 유체의 에너지 변화, 난류의 유속분포 및 흐름 특성, 각종의 유량 측정방법 및 측정용 구조물의 역학적 이해, 하천토사의 이동 등 각종의 유체에 관련된 기본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. |
14 | 전선 | 토질역학실습 (520039) Soil Mechanics Experiments |
흙의 특성치를 알기위해 중요한 실험(액성한계, 소성한계, 비중, 압도분석, 흙의 분류, 전단실험, 삼축압축실험, 압밀실험, 일축압축실험)을 실습을 통해 숙달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흙의 특성파악을 수행하게 된다. |
15 | 전선 | 위성측지학 Satellite geodesy |
기본적인 GNSS 이론을 숙지하도록 하고 각종 GPS측위기법에 따른 정확도분석, GPS자료를 활용한 삼각망조정 실시와 필터링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현재 모든 건설현장과 조사 및 측량업무에 적용됨으로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가르치는 과목이다. |
16 | 전선 | 수리수문학 Hydrology |
물의 순환, 강수, 증발, 침투, 지하수, 유출, 홍수추적, 수문자료의 빈도해석, 도시수문, 홍수 및 유역관리 등을 배운다. |
17 | 전선 | 응용수공학설계 Design of applied hydrodynamics |
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수리학적 및 수문학 기본이론의 적용에 대한 이해와 설계표준절차에 따른 일반적인 공학적 기법 그리고 수공구조물의 설계코드에 대한 해석과 실무적용 능력을 배양한다. |
18 | 전선 | 도로공학 Road Engineering |
도로의 조사 및 계획, 기하구조의 설계, 도로의 배수 및 토공작업, 도로포장재의 특성, 포장개론, 역청포장 및 콘크리트포장의 방법 및 설계, 도로의 유지관리방법 등을 학습하는 과목이다. |
19 | 전선 | 철근콘크리트구조 Reinforced Concrete Engineering |
무근콘크리트 및 철근콘크리트의 특성을 이해하게 하여 시방서와 이론에 의해 각종 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복합적인 철근콘크리트의 여러 형상의 보에 대한 휨, 전단, 정착등의 다양한 설계특성을 습득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을 설계하는 방법을 익힌다. |
20 | 전선 | 건설환경공학실무 Ⅰ,Ⅱ Civil& Envirionmental Engineering |
모니터링시설, 방파제 등의 방재시설과 같은 사회기반시설은 공학적으로 건설환경공학 시스템이 되며 건설환경공학 프로그램에서는 이와 같은 시스템을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설계, 시공 및 유지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및 응용기술을 학습한다. |
21 | 전선 | 구조역학 (520041) Structural Analysis |
본 과목은 교량, 건물, 댐, 터널, 해양 구조물, 플랜트, 송전 시설 등 수없이 많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단면력과 변형 등을 구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구조물의 처짐 및 부정정 구조물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공부한다. |
22 | 전선 | 하천 및 수자원 설계 Design of river and water resources |
하천 및 수자원 설계를 위한 수리학 및 수문학적 기본이론의 적용에 대한 이해능력을 키우고, 일반적인 공학적 기법과 공구조물의 설계코드에 대한 해석 능력을 배양하고 수자원의 최적 활용 방법을 익히는데 있다. |
23 | 전선 | 응용구조역학 Structural Analysis |
본 과목은 교량, 건물, 댐, 터널, 해양 구조물, 플랜트, 송전 시설 등 수없이 많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단면력과 변형 등을 구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구조물의 처짐 및 부정정 구조물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심도있게 공부한다. |
24 | 전선 | 도로공학설계 Design of Road Engineering |
도로공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도로의 조사 및 계획, 기하구조의 설계, 도로의 배수 및 토공작업, 도로포장재의 특성. 포장개론. 역청포장 및 콘크리트포장의 방법 및 설계 등을 학습하고 각종 측량장비를 통하여 현장 측량을 실시하여 유토곡석은 작성한다. |
25 | 전선 | 건설시공학 Construction Engineering |
본 과목의 주된 목적은 구조물 설계에 따른 시공관련의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, 이를 현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. 내용은 주로 시공관리. 토공, 암석굴착, 기초공, 포장공, 연약지반개량공 등 각종 공종의 적산 및 시공방법과 공정관리에 대해 학습한다. |
26 | 전선 | 공간정보설계 Space information design |
지표면의 공간 정보를 표시하는 지형도의 제작과 도로의 노선의 설계와 각종 건설공사에서 사용되는 공사측량 등 다양한 측량의 응용분야들과 지리정보시스템, 위성측위시스템과 사진측량등과 같은 측량분야의 최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. |
27 | 전선 | PS콘크리트공학 Presossed Concrete |
PS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의 특성. 프리스트레싱 방법 및 정착장치, 프리스트레스의 도입과 손실, 휨부재의 해석 및 설계, 전단과 응력에 대해 학습한다. |
28 | 전선 | 전산구조해석 Analysis of computational structure |
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각종 구조해석 기법을 학습한다. 이를 위하여 매트릭스 구조해석 및 유한요소법에 대한 개념적 기초를 익히고, 실제 상용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학습한다. |
29 | 전선 | 기초공학 Foundation Engineering |
토질역학과 토질실험에서 습득한 원리를 이용하여 지반과 관계되는 구조물, 즉 확대 기초, 탄성지반상의보, 전면기초, 용벽, 널말뚝, 지지벽 코퍼댐, 무리 말뚝기초, 케이슨기초, 기계기초에 대한 제반을 다루며 설계 및 computer program의 능력을 증진시킨다. |
30 | 전선 | 건설공사관리 Management of civil construction |
건설공사에 사용되고 있는 토공기계 및 공사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고, 현장에서 적용되는 공사 및 시공에 대한 계획 관리의 전반적인 사항을 교육한다. |
31 | 전선 | 토목종합설계 Ⅰ,Ⅱ Civil Capstone design |
토목종합설계에서는 저학년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기초로 하여 설계목표 설정, 합성, 분석, 제작, 시험, 평가와 같은 설계요소를 포함하고 경제, 환경, 안전, 생산성과 내구성, 산업표준 등 현실적 제한조건을 다루는 복합적인 설계과정을 경험하게 한다. |
32 | 전선 | 토목 CAD Ⅰ,Ⅱ Civil Engineering Computer Aided Design Ⅰ,Ⅱ |
CAD의 기본개념, 도면작성의 준비, 도면의 저장방법, 요서의 작성과 이해, 편집명령어의 이해도 향상 문자쓰기, 영역의 선택이해방법, 개체의 구분인식, 선형치수기입 등 실습위주의 교육으로 토목 설계를 컴퓨터로써 능숙하게 처리할 기법을 습득한다. |
33 | 전선 | 토목적산 및 공정관리 Ⅰ,Ⅱ Civil Engineering of Estimate & Process control |
토목분야에서 각 기관이 발주하는 공사의 공사비는 자재비·노무비·장비비·가설비·일반경비 등 1천4백30개 항목으로 나뉘어져 정부고시가격에 따라 산출하는 실무기법을 습득하고 토목공사의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토목구조물과 각종 설비가 공정대로 시공되도록 공사 과정에서 기술적 관리를 실시하는 실무과정을 습득하도록 한다. |
34 | 전선 | 강구조공학 Steel Structure Engineering |
강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이론 및 해석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. 토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강재의 기본성질 및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각종 부재 및 강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 그리고 시공, 유지관리와 관련된 능력을 배양한다. |
35 | 전선 | 프로젝트 실무 Field project |
설계(계획, 요구사항, 설계서 작성 등)를 직접 수행하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전공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직접 적용하여 실무 설계와 현장적용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,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직접 수행하는 실무를 경험하게 한다. |
36 | 전선 | 항공사진측량학 Aerial Photogrammetry |
지도 및 공간정보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자료로 제작하기 위해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해석법에 의하여 중복 투시영상을 정사투영으로 변환시켜 피사체의 위치, 형상 및 특성을 결정하는 기법을 의미하고 있다.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항공사진측량의 전반적인 개요와 실무위주의 활용기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|